경주, 발굴조사에 중장비 사용 원칙 세워야 > 사설

본문 바로가기


사설
Home > 사설 > 사설

경주, 발굴조사에 중장비 사용 원칙 세워야

페이지 정보

경북신문 작성일16-06-09 20:23

본문

국립중앙박물관이 경주 서봉총의 원활한 발굴조사를 위해 중장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성토가 확실한 문화재의 발굴에 포크레인 등 중장비 사용을 용인함으로서 발굴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려는 조치다. 이번 조치는 향후 경주지역 뿐만 아니라 타지역 문화재 발굴현장의 새로운 기준이 될 전망이어서 일종의 규제완화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발굴조사단에 따르면 서봉총 재발굴 조사를 실시하던 중 1980년대 중반 고분공원을 조성할 때 외부에서 흙을 반입해 인위적으로 봉토를 만들었음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인위적으로 만든 성토층은 신라문화층 위에 60∼110㎝ 두께로 덮여있는 유물이 전혀 없는 층으로, 체적이 대략 2천㎥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 성토층을 인력으로 제거할 경우 연인원 1천300명 이상이 투입돼야 해 발굴조사의 진행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번에 중장비를 사용하기로 한 것이다. 중장비의 사용 예상 기간은 오는 13일부터 약 10일간이다.
 문화재 발굴현장에서의 중장비 사용은 엄격히 제한돼 왔다. 아예 중장비 반입을 저지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발굴 현장에 중장비를 마구잡이로 사용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우려가 높고 발굴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주지역 발굴현장 곳곳에서는 포크레인 등 중장비가 들어 왔다가 언론과 시민단체의 감시를 받고 퇴거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
 대형공사장이나 아파트 단지 조성 현장 등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재 발굴은 까다로운 절차나 실익이 없는 규제 등으로 공기가 연장되고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등 불합리한 점이 많았다. 특히 과거 수십년 내 표피층에 대한 성토가 이뤄졌거나 산사태나 하천범람 등으로 자연 성토된 경우 인근 주민들도 모두 알고 있고 읍면동 사무소등에도 기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중장비 사용을 억제해 표피층 제거에만 수백명의 인력이 동원되고 수억원의 비용이 발생하는 등 지역발전을 가로막고 민원인들의 불만의 대상이 되곤 했다.
 이에 문화재청과 국립박물관 등 문화재 발굴 주체들은 이번 서봉총 발굴을 계기로 중장비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는 등 발굴현장의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아밖에도 발굴현장에 사용되는 발굴,운반,채집,정리용 기재에 대해서도 최신, 첨단기재들이 늘어난 만큼 과거 관행만 고집해 작업의 속도와 효율성을 더디게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 기회에 발굴현장에서의 중장비 사용 지침을 손보고 불필요한 규제는 제거해 신뢰와 공감을 얻는 문화재 행정이 이뤄지는 계기로 삼기를 바란다.
경북신문   kua348@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울릉·독도 신문. All rights reserved.
뉴스출처 : 경북신문 (www.kbsm.net)